여러 해에 걸쳐서 심리학자들은 사람을 움직이는 동기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왔다. 동기에 대한 접근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인간의 모든 동기가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것이 무엇인가를 설명하기 위한 일반 이론을 제안하는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성취동기, 작업 동기와 같이 구체적인 동기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었다. 이와는 달리 동기에 대한 이론을 내용 이론과 과정 이론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내용 이론은 동기를 일으키는 유발 요인이 무엇인가를 밝히는 것에 초점을 두고 과정 이론은 동기가 어떻게 유발되는가를 진행 과정에 따라서 단계별로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동기라는 주제만으로도 한 학기의 교과목으로 강의가 충분히 이루어질 만큼 동기에 대한 연구와 그 이론은 다양하고 방대하다. 이번 글에..
창의성을 연구하는 것은 결국 우리 모두가 창의적인 사람이 되어서 생활의 질을 높이기 위함이다. 그동안 창의성을 향상하기 위해 브레인스토밍 등 많은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개발된 창의성 프로그램의 결과가 그렇게 만족스럽지는 않은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단, 수학이나 공학 등 매우 기술적인 분야의 경우에는 분야 특수적인 창의성 프로그램이 효과적임을 대부분의 연구가 보고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기술이나 사고 유형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가 기대할 만한 것이 아니다. 창의성을 향상하는 한 가지 방법은 주제가 무엇인지 정확히 지각하고 그에 대한 해결책을 생각하는 것이다.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장애가 되는 것은 문제를 지각하는 능력의 저하와 그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정보의 결..
융(Jung)의 분석심리학(analytical psychology)은 인류 역사를 통해 발달해 온 정신과 개인이 속한 문화적 영향을 바탕으로 형성된 상대적인 정신적 소인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과의 차이점은 다움과 같다. 리비도의 확장: 리비도는 성적 욕구뿐만 아니라 생활 전반의 삶의 에너지를 포함한 정신 에너지로 간주한다.미래 지향: 성격은 과거의 사건뿐만 아니라 미래에 무엇을 하기를 열망하는가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성격은 후천적으로 변할 수 있다.집단 무의식 개념의 도임: 무의식에 대해 인간 정신의 자각 수준이 아닌 인류의 정신문화 발달에 초점을 두고 집단 무의식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무의식의 범위를 확장하였다. 1. 융의 집단 무의식 개념 융이 제신한 집단 무의식(coll..
창의성에 대한 관심을 오래전부터 있어 왔다. 창의성 계발을 위한 최초의 공식적인 프로그램을 크로포드가 기업체 종사자의 창의력을 향상하기 위해 개발한 193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 이후로 창의력을 향상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과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창의성에 대한 관심은 그 어느 때보다 급증하였다. 이는 현실적 요구와 무관하지 않다. 국가건 기업이건 개인이건 간에 현대사회에서 경쟁은 점차 치열해지고 있으며 경쟁을 극복하고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스스로를 경쟁자와 차별화해야만 한다. 창의성 또는 창의적 사고는 문제 해결과는 다른 것일까? 문제 해결은 정해진 논리와 단계를 밟아 가는 딱딱한 과정으로 보이지만 창의적 사고는 뭔가 자유롭고 융통성이 있으며 영감까지 곁들인 사고의 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