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안녕하세요! 청년 도약 계좌는 청년들이 자산을 쌓고 미래를 준비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운영 방식에 대한 아쉬움이 있었던 것이 사실입니다. 다행히 2025년부터는 많은 변화가 예정되어 있어 청년들이 더 유리한 조건으로 저축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글을 통해 청년 도약 계좌의 변화와 혜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재정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의 현재 운영 상태
2024년에 청년도약계좌의 예산이 60% 남을 정도로 호응이 저조했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다음고 같습니다. 현재 은행의 이자 및 정부 분담금은 은행이 납부한 금액과 일치합니다. 기준 연 이자율이 4.5%이고 우대금리가 적용되면 은행의 이자율은 최대 6%까지 높아집니다. 그러나 소득에 따라 정부 분담금이 차등 지원되며 월 저축액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득이 2400만 원 미만인 경우 40만 원을 납부하고 24,000원의 기부금을 받으면 6%의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소득이 2400만 원을 초과하면 추가 저축 지원이 없어 저축에 한계가 있습니다.
2025년부터의 변화
2025년 1월 1일부터 저축 한도를 초과하는 추가 저축에 대해 3%의 보조금을 받게 됩니다. 이렇게 하면 젊은이들이 더 많은 저축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실제로 금리를 인상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득이 2,400만 원인 사람이 50만 원을 저축하면 기존 6% 매칭 비율이 최대 40만 원까지 적용되어 24,000원의 보조금을 받고, 추가로 저축한 10만 원에 대해서는 3% 또는 3,000원이 적용됩니다.
만기(종료 조건) 개선
만 19~34세 청년이며 개인소득 7500만원 이하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여야 가입할 수 있습니다. 현재는 정부 보조금과 비과세 혜택을 받으려면 5년간 유지해야 하지만, 2025년부터는 3년 이상 유지하면 조기 해지 시에도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하반기부터는 원금의 최대 40%까지 일부 인출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됩니다.
기존 가입자
2025년 1월 1일 이후 납입분부터 적용하며 기존에 이미 정부 기여금 한도를 초과하여 납입한 건은 그냥 은행 기본 이자만 지급됩니다. 그 외에 3년 이상 보유하면 혜택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신용 점수 상승 혜택은 기존 가입자에게도 적용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이 자산을 쌓고 미래를 준비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이 글의 정보가 청년도약계좌를 잘 활용하고 더 나은 재무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일정, 중계경기 보기 (0) | 2025.02.04 |
---|---|
쉬운 비트코인 투자전략 알아보기 (0) | 2025.02.03 |
[과태료 금지]연간 세금 일정 미리 챙기세요 (0) | 2025.02.01 |
2025년 바뀌는 금융제도 알아보기 (0) | 2025.02.01 |
병역준비역 편입 안내 (ft. 군대 갈 아들) (0) | 2025.01.24 |